본문 바로가기

문과 통계4

문과생 미국 통계학과 대학원 진학하기 3. 영어 (GRE, TOEFL) 문과생 미국 통계학과 대학원 진학하기 3. 영어 (GRE, TOEFL) 선수과목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면, 이제 다음단계인 공인 영어 시험을 준비해야 할 차례이다. 영미권 대학원 유학을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영어시험을 보아야 한다. 1. GRE - Verval, Quantitative, Writing 으로 구성 2. TOEFL -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두 시험 모두 ETS에서 주관하는 시험인데, 응시료가 정말 비싸다. 정신건강을 위해서 그냥 학원에 가자 개인적인 생각으론 평소에 영어 공부를 꾸준히 하지 않았다면, 강남의 학원에 가서 배우는 것이 가장 시간이 적게들고 효율적인 것 같다. 한번에 시험을 끝내지 못하면 GRE+TOEFL 두 시험을 보는데만 50만원을.. 2017. 9. 25.
[잡썰] 데이터사이언스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 R, Python, SQL, SAS .. etc -처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고되다. 하지만 남들이 짜놓은 코드를 따라해보고 본인만의 아이디어를 적용해보다 보면 재미도 느낄 것이고 성취감이 드는 순간이 온다. 처음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 입문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도대체 어떤 언어를 공부해야 할지 궁금해 할 것이다. 나 또한 그랬으며, 사실 이 언어라는 것이 하나를 제대로 해놓으면 다른 분야로는 전환하기가 굉장히 쉬움으로 사실 어떤 언어를 시작해도 상관은 없다. 하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Python을 먼저 General 한 언어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난 이후에 SAS나 R 처럼 통계를 위해 특화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실력의 향상 면에서나 배움의 면에서나 훨씬 효율적인 것 같다. R이나 SAS를 먼저 배우고 Python을 배울 수도 있지만, .. 2017. 9. 25.
[잡썰] 데이터 분석가의 핵심 역량- 도메인 지식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근무했던 사무실의 뷰사람 가득하고 늘 바쁜 서울, 그게 지겨워 조용한 미국의 시골의 College town에 왔지만 가끔은 북적거리는 이곳이 그립다. 작년 겨울에 나는 롯데멤버스라는 회사의 빅데이터팀에서 인턴으로 근무를 하였다. 회사에서 배치를 받고 업무의 흐름을 파악하기 이전엔 나는 부끄럽게도 데이터분석가라는 직업에 대해서 상당히 무지했다. 이곳에서 근무했던 경험은 이런 나의 무지함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내가 배웠던 알고리즘-분석 방법이 어떻게 실제 비즈니스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해 내고 마케팅에 활용이 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던 귀중한 시간이였다. 짧게나마 인더스트리에 몸을 담고나서 돌이켜 생각해보면 데이터분석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이 이제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대충의 답을 얻은 것 같다. 이전엔 데이터 .. 2017. 9. 24.
문과생 미국 통계학과 대학원 진학하기 - 1. 프롤로그 문과생 미국 통계학 대학원 진학하기 - 1. 프롤로그 고단했던 준비의 끝 엄연하게 보면 나는 복수전공을 수학을 했기 때문에 쌩 문과생은 아니다. 하지만 인문계 고등학교를 나오고 학부 입학을 호텔경영계열로 입학하였기 때문에, 내 배경은 다른 문과생들과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을 한다. 그리고 다른 인문계열 학생들도 대학원 입시에 맞추어서 전략적으로 수업을 수강을 하고 미리 준비를 한다면 통계학과 대학원 진학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믿는다. 이렇게 나의 경험을 공개하는 이유는 나도 정보가 없어서 고생을 많이 했기 힘들었고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내가 겪었던 시행착오를 최대한 겪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 때문에 이렇게 글을 연재하게 되었다. 나의 이야기 - 전공 선택의 굴레 내가 대학에 처음 입학했을땐 전공에 대.. 2017. 7. 1.